본문 바로가기
일본어 관용구

慣用句 일본어 관용구 鎌をかける(かまをかける)

by ProE 2023. 3. 28.

일본어 관용구 鎌をかける

読み方

かまをかける

意味(의미)

(속마음을 떠보기 위해) 넌지시 말을 걸다. 속을 떠보다

語源

「鎌をかける」의 어원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습니다. 낫으로 풀이나 벼를 베는 몸짓에서 상대방에게서 유익한 정보를 어는다는 뜻이 되었다는 설과 부싯돌을 의미하는「火打ち窯」로 부싯돌을 부딪쳐 불씨를 얻는 데서 비롯하였다는 설, 통이나 채를 만들 때「かま」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수치를 재던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이 있습니다. 어느 유래건 알 수 있는 것은 비유적인 표현이라는 것. 낫을 사용하여 위협하여 말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은근히 상대방으로부터 알나 내는 것을 비유합니다.

使い方・例文(사용법・예문)
  • 友人にかまをかけたら、同じ相手が好きだと分かって ショック だった。
  • 친구 속을 떠봤는데, 같은 상대를 좋아한다는 것을 알고 충격이었다.
  • 母にかまをかけられ、勉強せずに遊びに出かけたことを口にしてしまった。
  • 엄마한테 유동심문에 걸려서, 공부 안 하고 놀러 간 걸 말해버렸다.
類語(유의어)
誘導尋問(ゆうどうじんもん)

유도신문

水を向ける(みずをむける)

상대가 관심을 갖도록 유인(유도)하다, 의중을 떠보다

腹を探る(はらをさぐる)

상대방의 의중(속마음)을 떠보다

探りを入れる(さぐりをいれる)

슬쩍 속을 떠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