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관용구 鰻登り(鰻上り)
読み方:うなぎのぼり
鰻登り의 의미
1. (물가, 온도, 평가 등이) 가파르게 오름
鰻登り의 활용
「鰻登り」는 물가, 온도, 평가 등이 눈에띠게 오르거나, 건수, 횟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新社長が就任してからというもの、わが社の業績は好調続きで株価も鰻登りに上昇している。
- 새로운 사장이 취임한 이후 우리 회사 실적은 계속 호조를 보이고 주가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 この歌手は デビュー してすぐ鰻登りに人気が出て、今ではいろんな メディア にひっぱりだこだ。
- 이 가수는 데뷔하자마자 승승장구하며 이제는 여러 매체에 인기가 많다.
- 最近は毎日猛暑で、朝早くから気温が鰻登りにあがっているため、病院には熱中症患者が後を絶たない。
- 감쪽같이 상대방의 감언에 속아 필요 없는 물건을 강매당했다.
- 周りの同僚があまりにおだてるものだから、ついつい口車に乗って リーダー を引き受けてしまった。
- 요즘은 매일 무더위로 아침 일찍부터 기온이 치솟는 바람에 병원에는 열사병 환자가 끊이지 않는다.
- 今月に入って以降、交通事故数が鰻上りに増えています。
- 이달 들어 교통사고 수가 부쩍 늘고 있습니다.
鰻登り의 어원
「鰻登り」의 어원은 2가지의 설이 있습니다.
첫째, 장어가 강을 올라 때 어떤 급류나 급경사의 강이라도 잘 올라가기 때문이라는 설입니다. 장어는 바다에서 태어나 그 후 강을 오르고 상류에서 성장해 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둘째, 장어를 손으로 잡으려고 하면 손에서 미끄러져 빠져나가는 모습에서 「鰻登り」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어느 쪽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장어의 습성을 잘 알고 있기에 생겨난 관용어 같습니다.
類語(유의어)
右肩上がり(みぎかたあがり)
1. 점점 수치가 커지는 것, 상태가 점점 좋아지는 것
2. (글을 쓸 때) 수평이 아닌 오른쪽 부분을 약간 올려서 쓰는 것
高騰(こうとう)
급등은 물가 등이 기세 좋게 오르는 것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단순히 물가가 기세 좋게 오르는 모습뿐만 아니라 상승 후 물가가 이상치를 보이는 듯한 뉘앙스도 포함한 표현입니다.
- 物価の高騰が続くことによる インフレ を防ぐため、政府はさまざまな財政政策に取り組んでいる。
- 물가 급등에 따른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재정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今年は全国的に梅雨入りが早く、長雨と日照不足で野菜の生育が悪いようだ。 スーパー でも野菜の価格が高騰している
- 올해는 전국적으로 장마가 빨라, 장마와 일조 부족으로 채소의 생육이 좋지 못한 것 같다. 슈퍼마켓에서도 채소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急上昇(급상승)
수치나 인기 등이 급격히 오르는 것. 반대어로「急降下급강하」
- 新曲が、人気の テレビ番組で紹介されてから売上ランキング が急上昇している。
- 신곡이 인기 TV 프로그램에 소개되면서 매출 순위가 급상승하고 있다.
躍進(약진)
약진은 눈부신 기세로 발전, 진보하는 모습을 말합니다. 대부분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됩니다.
- 韓国代表チーム は ワールドカップ で、結果的に ベスト4入りという大躍進を遂げた
- 한국 대표팀은 월드컵에서 결과적으로 4강에 드는 대약진을 이뤘다.
対義語(대의어)
下落(げらく)하락
수치나 평판등이 떨어지는 것을「下落」라고 합니다. 물가나 인기가 내려갈 때 많이 쓰입니다.
- 通貨の下落に歯止めがかからず、金融市場の混乱が続いている。
- 통화 가치 하락이 멈추지 않아 금융 시장의 혼란이 계속되고 있다
鰻を使った言葉 (장어를 이용한 말)
鰻の寝床(うなぎねどこ)장어 잠자리(좁고 길쭉한 집이나 방을 표현하는 관용구)
山の芋鰻になる(やまのいもうなぎになる)있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난다는 의미의 속담으로, 신분이 낮은 사람이 갑자기 출세한다는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鰻の木登り(うなぎきのぼり)장어가 나무 타기 같은 것을 할 수 없다는 예로, 가능할 리 없다는 것을 표현한 속담입니다.
'일본어 관용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慣用句 일본어 관용구 顔が広い(かおがひろい) (50) | 2023.03.06 |
---|---|
慣用句 일본어 관용구 馬が合う(うまがあう) (66) | 2023.03.03 |
慣用句 일본어 관용구 口車に乗る(くちぐるまにのる) (65) | 2023.03.01 |
慣用句 일본어 관용구 尻尾を振る(しっぽをふる) (61) | 2023.02.27 |
慣用句 일본어 관용구 山を張る(やまをはる) (42) | 2023.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