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을 즐겁게]
일본어 문법 そうだ/ようだ/らしい
여러분은 케이크를 좋아하나요? 아니면 별로인가요?
그렇다면 눈앞의 케이크를 보면 어떻게 말할까요?
(1)このけーきはおいしそうだ。 (2)このけーきはおいしいようだ。 (3)このけーきはおいしいらしい。 |
「おいしそうだ」(이「そうだ」는양태의「そうだ」라 불린다.),「おいしいようだ」「おいしいらいい」는 둘 다, 화자가 케익을 보고(정보를 얻어서), 생각하고(상상하고 판단해서) 말한 표현입니다. 외국분들로부터 「そうだ」「ようだ」「らしい」를 분간해서 쓰기가 어렵다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이번에는 이 3가지를 중심으로, 상상해서 판단하는 표현을 다뤄보겠습니다. (각각의 문법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표 2를 참조 바랍니다.)
지금, 「정보를 얻어서」상상해서 판단한다고 말했습니다만, 그것에 대해 잠시 생각해 봅시다. 「정보를 얻는다」는 것을, 그 정보를 얻었을 때의 상황, 즉 「정보 취득 시의 상황」과, 그 정보에 화자는 어느 정도의 관심이 있는 것인가 하는 「관심의 정도」이 2가지로 나눠서 생각하겠습니다.
a「정보 취득 시의 상황」
케이크를 가까이에서 볼 때에는 케익의 색, 모양도 잘 보이고, 냄새도 맡을 수 있지요. 경우에 따라서는 살짝 만져볼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한편, 케익을 가게 앞의 쇼케이스 안에서 본경우, TV에서 본경우, 사진으로 본경우 그리고, 다른 사람으로부터 케이크의 이야기를 들었을 경우 등은, 케이크로부터 조금 떨어져 있다고 말할 수 있겠지요. 전자는 정보 취득 시의 상황이 「직접적」 후자는「간접적」이 됩니다.
b 「관심의 정도」
한편, 케이크를 보거나 들었을때의 「화자」의 기분이나 상태도 중요합니다. 배가 몹시 고프거나, 케이크를 좋아하거나, 케익이 먹고 싶었거나 하는 경우의 사람이 있겠죠. 다른 한편으로는 단 것은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케이크도 좋아하지 않다거나, 지금은 배가 부르다고 하는 사람도 있겠죠. 전자의 경우를 그 대상에 대해 관심의 정도가 높고, 후자를 관심의 정도가 낮다고 하기로 합시다.
양태「そうだ」, 그리고 「ようだ」「らしい」의 구분은 「정보 취득 시의 상황」과「관심의 정도」로
크게 관련이 있지만, 굳이 말하자면 「관심의 정도」가 보다 큰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친구로부터 케이크를 받았다고 해도 (정보 취득 시의 상황이 직접적), 먹고 싶지 않을 경우도 있고(관심의 정도가 낮음), 반대로 이야기를 들은 것 만으로 (정보 취득 시의 상황이 간접적) 군침이 도는(관심의 정도가 높음)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3자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표1
정보 취득시의 상황 | 관심의 정도 | |
양태「そうだ」 | 직접적 | 관심이 큼 |
「ようだ」 | 직접적・간접적 | 관심이 조금큼・중간 |
「らしい」 | 조금 간접적 | 관심이 중간・ 적음 |
会話1 A1:おでんを作ったんだけど、見てくれる? 오뎅 만들었는데 봐줄래? B1:うん。<鍋の中を覗く>おいしそうね。 응. (냄비 안을 들여다 보고) 맛있을 것 같네. A2:どう? 어때? B2:<箸でつつきながら>ほかのはいいけど、大根はまだかたいようね。 (젓가락으로 찔러보면서) 다른 건 괜찮지만, 무는 아직 딱딱한 것 샅아. A3:・・・。 B3:大根はやわらかくなるのに、じかんがかかるらしいから。 무는 부드러워지는데 시간이 걸린다고 하니까요. (대화의 순번을 1,2,3으로 표시합니다. A2는 A의 2번째 말입니다. (이하 동일) ) |
회화 1에서 B는 냄비 안을 직접 보고, 수증기나 냄새를 통해 직접적으로 「おいしそうだ」(B1)이라고 말했습니다. 다음의 B2에서 무 색깔이 상태, 그리고 젓가락으로 만져보고, 약간 딱딱하다고 생각했기에 「かたいようだ」라고 말했습니다. 「たべたい」라고 하는 기분보다, 무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전하려 했다고 생각됩니다. B3에서는 먼저 「大根がかたい」라고 말해버렸기 때문에 A를 달래려는 느낌으로 무가 익을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들은 것처럼 전했습니다. 이 「らしい」는 정보를 들었다는 이므로 전문의「そうだ」와 매우 흡사합니다.
会話2 A1:たくさんの人が並んでいるね。 사람들이 줄을 많이 서있네. B1:あ、3D映画をやっているんだ。 아, 3D영화를 하고있다 A2:3D映画は面白いそうだ(らしいよ) 3D영화는 재미있대. B2:うん、そうらしいね。 응 그렇다네. |
회화 2의 A2에서 「らしい」와 전문「そうだ」는 거의 같은 의미가 됩니다. B2에서 「そうらしいね」를 사용하고 있지만, 전문의 의미를 강하게 하기 위해 「そうだそうだね」라고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지금까지는 형용사(おいしい、かたい 등)를 사용해서 「そうだ」「ようだ」「らしい」를 다뤘습니다. 다음은 동사의 경우를 들어보겠습니다.
会話3 A1:<空を見上げて>雨が降りそうですね。 (하늘을 올려다보며) 비가 올 것 같네요. B1:ええ、午後から降るようですよ。 네, 오후부터 내리는 것 같아요 A2:天気予報でそう言ってましたか。 일기예보에서 그리 말했나요? B2:ええ、午後から天気が崩れるらしいです。 네, 오후부터 나빠지는 것 같아요. |
会話4 A1:今「雪」っていう本を探しているんですが、なかなか見つからなくて。 지금 「눈」이라는 책을 찾고 있는데요. 좀처럼 안보여서요. B1:そうですか。じゃ、〇〇書店へ行ってみましょう。 그래요? 그럼 ㅇㅇ서점에 가보시죠. <〇〇書店で> <ㅇㅇ서점에서> A2:大きい本屋ですね。ここならありそうですね。 큰 서점이네요. 여기라면 있을 것 같네요. B2:ええ、たいていの本はあるらしいですよ。 네, 대부분의 책은 있는 것 같아요. <しばらくして> <잠시후> B3:「雪」はありましたか。 「눈」은 있었나요? A3:いろいろ探しましたが、ないようですね。 여기저기 찾아봤지만, 없는 것 같아요. B4:そうですか。ありませんか・・。 그런가요. 없군요... |
동사의 경우도 표 1과 같이 「そうだ」「ようだ」「らしい」가 주로 정보 취득 시의 상황과 화자의 관심의 정도에 의해 정해진다는 것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형용사+양태「そうだ」가 외관에서 얻는 느낌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은데 비해, 동사+양태「そうだ」의 경우는 그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회화 3에서 A는 하늘을 올려다보고 직접적인 인상으로 「降りそうだ」(A1)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관심의 정도가 높음과 함께 비가 내릴 가능성의 높음에 대해서는 말하고 있습니다.
그에 비해 B1에서는 「ようだ」를 이용하여 대답하고 있지만, B가 실제로 하늘을 보고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고, 비가 내리는 것에 대해 그 정도로 관심이 높다고는 말할 수 없다고 생각됩니다. 다음의 B2에서 「空がくずれるらしい」라고 말하고 있지만, 그것은 일기예보에서 들은 것을 전하고 있는 거라 생각됩니다. 정보가 간접적으로 전문「そうだ」(天気がくずれるそうだ)와 비슷한 사용법을 하고 있습니다.
회화 4에서는 원하는 책을 구하러 A와 B는 〇〇서점에 갔습니다. 〇〇서점은 커다란 서점으로 주위를 둘러본 것만으로도 책이 풍부하게 있고, A는 찾고 있는 책이 발견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했음에 틀림없습니다. 그 점에서 A는「ありそうだ」(A2)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A를 〇〇서점까지 안내해 온 B는 일전에 다른 사람으로부터 〇〇서점에 대해 들었기 때문에 B2에서 간접적으로 「あるらしい」라고 전했습니다. (이 「あるらしい」는 역시 전문「そうだ」에 가까운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잠시 〇〇서점 안을 찾아봐도 찾고 있는 책을 발견할 수 없었습니다. A는 조금 실망해서 관심을 조금 잃고, 발견될 가능성이 없는 것을 A3에서 「ないようだ」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다음에 계속)
표 2
양태 「そうだ」 |
イ형용사・ナ형용사의 어간, 또는 동사의 マス형에 붙는다. 부정의 형태「そうだ」의 앞을 부정하는 형태1(형용사:「ーなさそうだ」(おいしくなさそうだ), 동사:「な(さ)そうだ」(降らな(さ)そうだ)와「そうだ」그자체를 부정하는 형태2(형용사:「ーそうではない」(おいしそうではない), 동사:「ーそうに(も)ない」(ふりそうに(も)ない)가 있다. 형태2의 경우가 화자의 부정하는 느낌이 강하다. 양태「そうだ」는 명사와 함께 사용될 수 없다. 「子供そうだ」「独身そうだ」는 「子供のようだ/子供らしい」「独身のようだ/独身らしい」이 된다. |
「ようだ」 |
동사, イ형용사・ナ형용사, 「名詞+だ」의 보통형에 붙는다. 단 「名詞+だ」의 비과거의 경우에는 「ーのようだ」(雨のようだ), ナ형용사의 경우에는 「ーなようだ」(元気なようだ)가 된다. 단언의 형태로 사용되는것 이외에「~ような気/感じがする」「~ように思う/おもわれる」のように「ような」「ように」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春おような暖かい日」와 같은 비유적인 사용법도 있다 |
「らしい」 |
동사, イ형용사・ナ형용사, 「名詞+だ」의 보통형에 붙는다. 단 「名詞+だ」와 ナ형용사의 비과거의 경우는 「명사・ナ형용사의 어간+らしい」(雨らしい、元気らしい)가 된다.「らしい」는 「ようだ」에 비해서 조금 문어적이라 할 수 있다. 「春らしい1日」와 같은 「전형적인」이라는 의미를 표현하는 용법도 있다. |
전문「そうだ」 |
동사, イ형용사・ナ형용사, 「名詞+だ」의 보통형에 붙는다. 부정은「そうだ」의 앞을 부정하는 형태「おいしくないそうだ、降らないそうだ)을 취하며 「そうだ」그 자체를 부정하는 형태(Xおいしいそうではない、X降るそうではない)는 사용되지 않는다. 다른 사람으로부터 들은 것을 전하는 역할을 갖지만 화자의 빨리 전하고 싶다거나 가치가 있는 정보라는 느낌을 품고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양태「そうだ」가 의문(おいしそうですか、ふりそうですか)에 사용되는것에 비해, 전문「そうだ」에서는 의문의 형태(Xおいしいそうですか、xふるそうですか)는 사용되지 않는다 |
(이치카와 야스코 / 일본어 국제센터 객원 강사)
일본어 문법 そうだ/ようだ/らしい(2)
일본어 문법 そうだ/ようだ/らしい(1)로 이동하기 [문법을 즐겁게] 전 회에 이어서, 오늘은 「そうだ/ようだ/らしい」(2)를 하겠습니다. (1)에서는「そうだ/ようだ/らしい」의
ultrahappyvirus.tistory.com
※ 상기 내용은 국제교류기금에 게재된 내용을 직접 번역한 것으로, 의역/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원문 보기
'일본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어 문법 そうだ/ようだ/らしい(2) (28) | 2023.02.24 |
---|---|
일본어 문법「ところ」(2) (63) | 2023.02.23 |
일본어 문법 「ところ」(1) (41) | 2023.02.22 |
일본어 문법 まで/までに (55) | 2023.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