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본어 문법

일본어 문법 そうだ/ようだ/らしい(2)

by ProE 2023. 2. 24.

 

 

 

일본어 문법 そうだ/ようだ/らしい(1)

[문법을 즐겁게] 일본어 문법 そうだ/ようだ/らしい 여러분은 케이크를 좋아하나요? 아니면 별로인가요? 그렇다면 눈앞의 케이크를 보면 어떻게 말할까요? (1)このけーきはおいしそうだ

ultrahappyvirus.tistory.com

[문법을 즐겁게]

전 회에 이어서, 오늘은 「そうだ/ようだ/らしい」(2)를 하겠습니다.

(1)에서는「そうだ/ようだ/らしい」의 차이를 주로「정보 취득시의 상황」과 「관심의 정도」로 설명 했습니다.

화자가 무언가의 「정보」를 얻어서 자기 나름의 「판단」을 해서 상상하거나, 관심을 갖거나, 평가를 하거나 합니다만, 그러한 프로세스를 거쳐 표현하는것은 「そうだ/ようだ/らしい」이외에도 많이 있습니다.

(1)このケーキはおいしいと思う。 이 케이크는 맛있는 것 같아.
(2)このケーキはおいしいだろう。 이 케이크는 맛있겠지.
(3)このケーキはおいしいだろうと思う。 이 케이크는 맛있을 거야.
(4)このケーキはおいしいかもしれない。 이 케이크는 맛있을지도 몰라.
(5)このケーキはおいしいにちがいない。 이 케이크는 맛있는 게 틀림없어.

이러한 「とおもう/だろう/だろうと思う/かもしれない/にちがいない」그룹을 ①라고 하겠습니다.

다음으로, 이 전 회에서 설명한 (6)~(9)의 「そうだ/ようだ/らしい」그룹을 ②라고 하겠습니다.

(6)このケーキはおいしそうだ。 이 케이크는 맛있어 보인다.
(7)このケーキはおいしいようだ。 이 케이크는 맛있는 것 같다.
(8)このケーキはおいしいらしい。 이 케이크는 맛있다나봐.
(9)このケーキはおいしいそうだ。 이 케이크는 맛있대.

그리고 다음의「はずだ」「わけだ」그룹을 ③이라고 하겠습니다.

(10)このケーキはおいしいはずだ。이 케이크는 맛있을 거야.
(11)このケーキはおいしいわけだ。이 케이크는 맛있는 거야.

①②③의 그룹은 모두 화자가 '정보를 얻고 판단'을 하는 것인데, ①②③의 차이는 화자의 정보 의존도(정보를 얼마나 알고 거기에 의존해 판단하느냐)의 차이에 달려 있습니다.①에서 ③로 갈수록 화자는 정보에 의존하여 판단을 합니다.반대로 말하면, ③에서 ①로 갈수록 정보보다 화자의 판단(여기서는 주관이라고 하는 편이 좋습니다)이 더 강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정보에 대한 의존이 클수록 판단은 객관적이 되고, 반대로 정보보다 판단이 강하면 주관적이 됩니다.

 

그것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と思う そうだ(様態) はずだ
だろう ようだ わけだ
だろうと思う らしい  
かもしれない そうだ(伝聞)  
にちがいない    
情報への依存度
判断(主観的)
判断(客観的)

그럼 구체적인 예시로 생각해 볼까요?

 

예 1

당신이 외출에서 돌아와 보니 집안이 조금 이상해요.서랍이 열리고 안에 있는 물건이 밖에 나와 있어요.테이블에 놓아둔 꽃병도 쓰러져 있어요.
이때 당신은 어떻게 말할까요?

(12)泥棒に入られたかもしれない。 도둑이 들었을지도 모른다.
(13)泥棒に入られたにちがいない。 도둑이 든 것이 틀림없다.

이것들은 ①그룹의 표현이지만 당신은 도둑이 들었다고 생각하지만 확실한 자신감은 없습니다.어디까지나 당신의 상상일 뿐입니다.

(14)泥棒に入られたようだ。 도둑이 든 것 같다.
(15)泥棒に入られたらしい。 도둑이 든 모양이다.

(14)(15)와 같이 ②의 그룹이 되면 당신의 확신도 다소 강해지고 있습니다.서랍 속 보석도 돈도 없어진 것을 알고 상상이 확신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당신은 문득 정원을 향한 창문을 보았습니다.유리창이 깨져 있잖아요.그래서 당신은 ③그룹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16)窓が割れている。そうか、あそこから泥棒に入られたわけだ。
  창문이 깨져 있네.그렇구나 저기로 도둑맞은거야.

당신은 집안이 어질러진 것 외에도 유리창이 깨져 있다는 것을 알고 도둑이 들었다는 것을 100% 확신한 것입니다.

예 2

○○국가가 금성에 로켓을 발사하려 하고 있습니다.그걸 듣고 당신이라면 어떻게 생각하나요? 우선 발사 성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 ○○국가 로켓 제조 기술
  • ○○국가의 지금까지 로켓 발사 성공률
  • 금성 도착의 난이도
  • 발사 예정일의 기상・날씨 등

 이런 정보들을 얻고 또 정보 의존도에 따라서 어떤 사람들은 ①의 「とおもう」를 사용해서 「金星ロケットは成功すると思う금성로켓은 성공할 것이다」 라고 말하고, 어떤 사람들은 ②의 양태 「そうだ」를 써서 「金星ロケットは成功しそうだ금성로켓은 성공할 것 같다」, 어떤 사람들은 ③의 「はずだ」를 써서 「金星ロケットは成功するはずだ(분명) 금성로켓은 성공할 것이다」라고 이야기를 할 것입니다. 「成功すると思う」 보다「成功しそうだ」가 보다 더, 「成功いそうだ」보다 「成功するはずだ」가 화자가 정보에 의존하여, 즉, 보다 객관적으로 표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 문제입니다.다음과 같은 경우 당신은 ①~③의 어떤 표현을 사용할까요? ( ) 안에 abc 중 하나를 넣어주세요.

 【問題】
1.○○国のロケット開発力はよくわからないが、熱心に計画を進めているとニュースでも言っていたから、()。
 ○○나라 로켓 개발력은 잘 모르겠지만 열심히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고 뉴스에서도 그랬으니,
2.○○国は何年もかけて研究をし、実験をしてきている。ロケットも最新式のもので、当日の気象も問題ないので、()。
 ○○국가는 몇 년에 걸쳐 연구를 하고 실험을 해오고 있어.로켓도 최신식인 것으로, 당일의 기상도 문제없기 때문에
3.○○国の意気込みがすごい。前回の反省に立って改良してきているので、今度は大丈夫だろう。期待したい。()。
 ○○나라 마음가짐이 대단하다. 지난번 반성에 입각해 개량해 왔으니 이번에는 괜찮을 것이다.기대하고 싶다
a.成功しそうだ 성공할 것 같다
b.たぶん成功するだろう 아마 성공할거야
c.きっと成功するはずだ 분명 성공할거야

여러분 어떤가요? 어려우셨나요?
답은 1-b 2-c 3-a입니다.
1은 「개발력은 모른다」라고 추량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3은 정보에 근거하면서도 기대에 의한 판단이 강합니다.가장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은 2라고 생각됩니다.
 

그럼 여기서 여러분이 헷갈려하는, ③의「はずだ」와 「わけだ」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양자의 기본적인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はずだ:話し手自身の経験などから来る期待や確信、あるいは単なる知識や良識に基づく判断
 화자 자신의 경험 등에서 오는 기대나 확신 혹은 단순한 지식이나 양식에 근거한 판단
わけだ:他のすでに起こった事実・事柄に基づく判断
 이미 일어난 사실·사안에 근거한 판단

「よい物は売れる좋은 물건은 팔린다」는 것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일본은 지금 경기가 별로 좋지 않기 때문에 가격을 낮추지 않으면 물건이 잘 팔리지 않습니다. 소비자들은 싼 물건을 구하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한편으로 비싼 물건이라도 정말 좋은 물건은 팔리고 있습니다. 비싸도 정말 맛있는 음식을 내놓는 레스토랑은 유행하고, 품질 좋은 가방이나 옷은 비싸도 팔리고 있습니다.

[会話]
<洋品店で><양품점에서>
 店員:店長、このバッグは高すぎるから、値段を下げませんか。
 점원 : 점장님, 이 가방은 너무 비싸니까 가격을 낮추지 않겠습니까?
 店長:いや、よい物は必ず売れるはずだ。もう少し待ってみよう。
 점장: 아니, 좋은 물건은 반드시 팔릴 거야.조금만 더 기다려보자.
<1週間ほどして、バッグが2つ売れた。>
<일주일 정도 지나서 가방이 두 개 팔렸다.>
 店長:ほら、売れただろう。거봐 팔렸지?
 店員:そうですね。あのバッグは本当によい物だから、売れたわけですね。
 그렇습니다.저 가방은 정말 좋은 물건이기 때문에 팔린 것이군요.
    お客さんはよく知っていますね。
    손님들은 잘 아시네요.

점장은 오랜 경험이나 지식으로부터 「좋은 물건은 팔린다」라고 하는 판단(확신)을 하고 있습니다. 그 판단(확신)은 특별히 무슨 일이 일어났기 때문이 아닙니다. 반면 점원은 팔리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던 가방이 두 개나 팔렸다는 이미 일어난 사실・사건을 보고 납득하고 「売れたわけですね」라고 「わけだ」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はずだ」와「わけだ」 중 어느 쪽을 사용해도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会話]
A:ヨンさんって歌が上手ですね。씨는 노래를 잘하시네요.
B:ああ、彼は国ではプロの歌手だったらしいですよ。아, 그는 나라에서는 프로 가수였던 것 같아요.
A:ああ、それで上手な(はずです/わけです)ね。아, 그래서 잘하는 거군요.

이 대화에서「はずだ」를 선택한 경우 화자는 자신의 경험이나 지식・상식에 근거하여 「프로 가수라면 잘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반면 「わけだ」를 선택한 경우에는 용씨가 가수라는 사실을 알고 「ああ、そうだったのだ아 그랬구나」고 사실을 바탕으로, 납득하고 판단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치카와 야스코 / 일본어 국제센터 객원 강사)

※ 상기 내용은 국제교류기금에 게재된 내용을 직접 번역한 것으로, 의역/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원문 보기

 

댓글